본문 바로가기
과학백과

타고난 능력 본능과 행동 및 학습

by 하나이글스 2022. 9. 1.
반응형

본능

학습을 통해 배우지 않아도 선천적으로 지니는 동물의 행동입니다. 생물학에서는 경험이나 학습과 관련이 없는 행동만을 본능 또는 본능적 행동이라고 합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본능적 행동은 한 종의 동물에서 암수 한쪽 또는 양쪽의 구성원 거의 모두에게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행동이어야 합니다. 큰가시고기의 짝짓기 행동은 본능의 여러 가지 예를 보여줍니다. 큰가시고기의 수컷은 짝짓기 할 장소를 선택하고 그곳에 있는 다른 물고기들을 쫓아낸 뒤 식물들을 모아 집을 짓습니다. 그러는 동안 평소 흐릿했던 몸 빛깔이 바뀌어 배는 선홍색이 되고 등은 청백색이 됩니다. 집이 완성되면 수컷은 암컷에게 구애를 시작합니다. 알로 꽉 찬 부푼 배를 한 암컷이 짝짓기 장소에 들어서면 수컷은 암컷에 다가가서 지그재그 춤을 춥니다. 수컷은 암컷이 자기 집으로 따라올 때까지 계속 춤을 춥니다. 암컷은 집에 들어가 알을 낳은 뒤 떠나가고 수컷이 알을 수정시킵니다. 수컷은 집 가까운 곳에 머무르면서, 알과 알에서 깨어 나온 새끼를 지킵니다. 큰가시고기는 이와 같은 복잡한 짝짓기 의식을 학습하지 않지만 모든 개체가 똑같은 행동을 합니다. 그들은 신경계에 행동 양식이 새겨진 상태로 태어나는 것입니다. 같은 종이라도 동물마다 본능적 행동의 세세한 부분이 각각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금방울새는 둥지를 지을 때 여러 가지 재료를 섞는 비율이 각각 다릅니다. 그러나 본능적인 행동은 대부분 고정되어 있습니다.

 

짐승의 눈동자

본능 행동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신호 자극:본능 행동은 대부분 자극에 의해 일어납니다. 예를 들어, 큰가시고기의 수컷은 배가 부풀어 오른 암컷을 보았을 때 구애를 시작합니다. 판지로 모형을 만들어 실험을 해보니, 큰가시고기의 수컷은 모형이 배가 부풀어 오른 모양일 때에는 모형에게도 구애를 했습니다. 큰 가시고기의 암컷은 수컷의 선홍색 배에 유인됩니다. 암컷은 수컷과 똑같으나 배가 붉지 않은 모형보다는 조잡하더라도 배가 붉은 모형을 따라갈 확률이 높습니다. 암컷의 부풀러 오른 배와 수컷의 선홍색 배는 모두 신호 자극의 예가 됩니다. 호르몬의 변화:많은 경우에 신호 자극은 동물의 몸에 있는 하나나 그 이상의 분비선에 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계절에 따라 변하는 햇빛의 양은 몇몇 조류에서 분비선을 자극합니다. 자극을 받은 분비선은 호르몬을 분비하며 호르몬 분비량의 변화가 조류를 이주하도록 자극합니다. 분비선이 정확하게 특정 호르몬을 분비하지 않는다면, 동물은 그 호르몬과 연관된 본능 행동을 할 수 없게 됩니다. 어떤 분비선은 동물의 일생 중 특정 시기에만 호르몬을 분비합니다. 예를 들어, 생식선은 동물이 어릴 때에는 기능을 완전하게 발휘하지 못합니다.

 

본능과 학습

동물은 본능 행동과 학습 행동을 모두 합니다. 곤충류, 거미류, 갑각류는 거의 모든 행동을 본능으로 결정합니다. 이들이 학습하는 양은 매우 적어서, 본능에 의지하여 살아갑니다. 그러나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를 등 좀 더 고등한 동물은 학습을 통해 본능을 고쳐나갑니다. 예를 들어, 갓 부화한 새의 새끼는 움직이는 물체가 나타나면 그것이 단지 낙엽일지라도 몸을 웅크리고 움직이지 않습니다. 좀 더  자라면 나뭇잎이 해를 주지 않는다는 것을 학습하기 때문에 전에 했던 것처럼 반응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매가 근접하는 경우에는 몸을 웅크리고 움직이지 않습니다. 고등한 동물일수록 더 많은 행동을 학습할 수 있고, 본능에 의존하는 정도가 줄어듭니다. 어류는 조류보다 좀 더 본능에 의해 행동하고, 조류는 포유류보다 더 많이 본능적인 행동을 합니다. 어린아이들은 본능적으로 웃고 물체를 빱니다. 그러나 자라면서 행동의 대부분을 학습하게 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