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
물이 불어나서, 강, 하천, 호수 등의 물이 넘치는 현상을 말합니다. 홍수가 나면 표토가 씻겨 내려가기 때문에, 땅을 메마르게 합니다. 특히 아무런 대비도 없이 갑작스럽게 큰 홍수가 나면, 집과 재산을 잃거나 사람이 죽는 등 엄청난 피해가 발생합니다. 그러나 홍수가 인간에게 도움을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집트에서는 해마다 5~6월에 걸쳐 큰 비가 내리면, 나일강이 넘쳐흘러 홍수가 일어납니다. 하지만 물이 빠지고 나면 강의 상류에서 떠내려온 기름진 흙만 남아, 이집트 평야와 나일 유역은 세계에서 가장 비옥한 지역이 됩니다. 강·호수·바다 등의 물이 마른땅으로 넘칠 때 일어나는 홍수는 강홍수가 일반적이지만, 호수와 바다 홍수가 더 큰 피해를 줄 수도 있습니다.
종류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인 것으로는 강홍수와 바다 홍수가 있습니다. 강홍수:한꺼번에 많은 비가 내리거나 눈과 얼음이 갑자기 녹으면 발생합니다. 많은 비로 작은 강이나 하천에 물이 갑자기 불어나 넘치면 돌발홍수가 발생하는데, 돌발홍수는 대부분 산악지역에서 일어납니다. 그러나 사막에서도 가끔 내리는 큰 비 때문에, 와디(일시적으로 흐르는 하천이 만드는, 원래는 물이 없는 골)로 성난 급류가 흐르면서 홍수가 일어납니다. 세계적으로 이름난 강은 거대한 홍수로도 유명합니다. 중국의 황하유역에서 일어나는 홍수는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너무나 많은 피해를 입었습니다. 그래서 중국인은 황하를 '중국의 슬픔'이라고 합니다. 최악의 홍수는 1887년에 일어났는데, 약 100만 명의 사람이 죽었습니다. 한편, 인도에서 일어난 최악의 홍수는, 1840년에 지진이 발생했을 때 인더스강 상류에서 일어났습니다. 인더스강에는 산사태로 자연적인 댐이 생기면서, 댐 뒤로 폭 60km 이상, 깊이 300m 이상의 호수가 생성되었습니다. 그런데 지진으로 이 댐이 무너지자 급류가 인더스 유역으로 흘러들면서, 큰 홍수가 일어나 많은 생명을 빼앗아갔습니다. 바다 홍수 : 태풍이나 강한 폭풍우가 휘몰아치면 바닷가의 물이 육지 깊숙이 밀려와 바다 홍수가 일어납니다. 1970년에 인도양 벵골만에 사이클론이 지나가면서 해일이 일어, 역사상 가장 큰 바다 홍수 재해가 발생했습니다. 거대한 파도가 방글라데시 해안을 덮쳐 약 27만 명이 죽고, 100만 명에 이르는 사람이 집을 잃었습니다. 서부 유럽 해안에서는 해상이 발달한 저기압 때문에 홍수가 납니다. 간혹 북해 상공에 생긴 저기압으로 만조 때 강한 바람이 불면, 높은 파도가 해안을 덮칩니다. 1953년 네덜란드에서 강한 바람 때문에 큰 파도가 일어 바닷물을 막아 놓은 제방을 무너뜨려, 국토의 4%가 넘는 지역이 물에 잠겼습니다. 영국 동해안과 템스강어귀에서는 더 큰 홍수 피해가 있었습니다. 켐스 강어귀에 있는 런던을 포함하여 영국의 남동 해안은 특히 홍수가 나기 쉽습니다. 지질학자에 따르면, 이 지역이 100년에 30㎝씩 가라앉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게다가 온실효과로 지구가 따뜻해져 해수면이 올라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특히 런던은 홍수가 일어나기 쉽습니다. 지진과 화산 폭발로도 해안지방에 홍수를 일으킬 정도의 높은 파도가 발생하는데, 지진이나 화산 폭발로 생긴 파도를 지진해일이나 쓰나미라고 합니다. 1883년에 자와섬 서부의 순다해협에 있는 크라카타우 화산이 폭발하여 35m 높이의 지진해일이 발생했습니다. 이때 약 3만 명이 죽고, 배 한 척이 육지로 2.5㎞나 밀려오기도 했습니다. 그 밖의 홍수 : 폭풍우가 휘몰아치는 강한 바람이 불면 호숫가를 따라 홍수가 일어나기도 합니다. 그밖에 댐과 같은 인공 구조물이 무너져 홍수가 일어나기도 합니다. 1963년에 이탈리아에서는 바이온트 댐이 붕괴되어 일어난 홍수로 1800여 명이 죽었습니다.
조절
홍수 피해는 산림 파괴와 과잉 경작 같은 인간의 활동 때문에 점점 더 커집니다. 맨땅에 비가 내리면 곧바로 흙과 식물에 흡수되지 않으므로, 빗물은 지표면을 따라 강으로 흘러들어 가 강물이 불어나서 때때로 돌발홍수를 일으킵니다. 몇 년 동안 침식된 흙은 강바닥에 쌓여 강의 수위를 높입니다. 이런 지역에서 홍수를 막는 방법은 물을 저장할 댐을 쌓고, 침식된 산비탈에 나무를 심는 것입니다. 또한 강바닥을 파고, 강을 따라 둑을 높이 올리면 됩니다. 국토의 2/5가 해수면보다 낮은 네덜란드는 바닷물이 내륙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해안을 따라 거대한 제방을 건설했습니다. 해안지방에는 대부분 만조 때 일어나는 홍수를 막으려고 돌로 튼튼하게 지은 방파제와, 해안 침식을 막으려고 나무로 만든 방파제가 있습니다. 사구(모래언덕)에는 풀과 나무를 심는데, 식물이 뿌리를 내리면 모래가 물에 잘 쓸려내려가지 않으므로 홍수를 막는 데 도움을 줍니다. 런던 울리치에는 템스강이 넘치는 것을 막기 위해, 강을 가로질러 움직이는 철문을 연결했는데, 이 철문이 큰 둑을 이루고 있습니다. 콘크리트 교각 사이에는 회전하는 철문을 달아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강바닥에 눕혀 놓고 배가 다닐 수 있도록 했습니다. 그러나 해일경보가 울리면 철문을 끌어올려 밀려오는 강물을 막아 런던에 홍수가 나지 않게 했습니다. 이 둑은 1982년에 완공했습니다.
피해를 줄이는 방법
홍수를 막는 것도 중요하지만, 홍수가 났을 때 피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도 필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하천이 넘칠 때 자주 물에 잠기는 낮은 땅에 건물을 짓는 일을 피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곳에 건물이 있어도 홍수 피해를 줄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것은 건물을 땅에서 높이 올려 짓거나, 방수가 되는 건축자재를 사용하면 됩니다. 과학적인 방법으로 홍수가 날 만한 지역을 알 수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정부에서는, 물길을 따라 좁고 긴 땅을 빈 땅으로 남겨둘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이 땅을 방수로라고 하는데, 많은 지역에서 이 장수로를 따라 넓은 땅을 농지나 공원으로 사용합니다. 또한 미리 폭풍우와 홍수경보를 내려 사람들을 대피시켜, 홍수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특히 인명과 재산의 손실을 많이 줄일 수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환경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존과 상하층 대기의 오존 그리고 오존구멍 (0) | 2022.09.19 |
---|---|
아낌없이 내어주는 천연자원의 용도와 중요성 및 개발보존 (0) | 2022.09.08 |
강한 비바람 태풍의 공포와 구조 및 발생과 소멸 (0) | 2022.09.05 |
지구온난화 현상 및 원인과 영향 (0) | 2022.08.30 |
재활용과 용도 그리고 쓰레기의 수집 방법 (0) | 2022.08.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