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백과

수질오염과 원인 그로인한 영향

by 하나이글스 2022. 9. 27.
반응형

수질오염

아주 심각한 환경오염 가운데 하나입니다. 물에 쓰레기나 유독성 화학물질, 금속, 기름과 같은 물질이 들어가 물리적·화학적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각종 용수로 사용할 수 없거나 수서생물에게 나쁜 영향을 끼치는 상태입니다. 오염 물질은 빗물·강·호수·바다 등에 영향을 미치고, 지표 아래에 있는 지하수에까지 영향을 끼칩니다. 오염된 물 가운데에는 겉으로 깨끗하게 보이는 것도 있으나, 그 속에는 세균이나 화학물질 또는 불쾌감, 질병, 심지어 죽음까지도 가져올 수 있는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런 물은 반드시 불순물을 없애야 식수나 세탁 등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물을 제조 과정에서 이용하려면 먼저 물을 정화해야 합니다. 수질오염은 대부분의 나라에서 심각한 문제입니다. 특히 우리나라를 비롯한 캐나다·중국·인도·일본·러시아·미국 등에서는 더욱 심각합니다. 각국 정부는 물로 흘려보낼 수 있는 쓰레기의 양과 종류를 제한해 왔습니다. 정부기관과 산업체, 중소도시들은 엄청난 돈을 연구소나 처리장에 투자해 수질오염을 줄이려고 노력합니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대도시에서 처리되지 않은 엄청난 양의 하수를 항구나 해안으로 흘려보내고 있습니다. 또 하수도나 공장처럼 잘 알려진 지점에서 흘러나오는 오염물질을 빼고는 대부분 통제되지 않고 있습니다.

 

수질오염 사진

 

원인

수질오염의 주요 원인은 쓰레기, 하수, 농약과 노폐물, 쓰레기매립장에서 나오는 침출수 등입니다. 사업장폐기물, 산업 국가에서는 하수도보다 산업체에서 더 많은 산업폐수를 흘려보냅니다. 이런 산업폐수에는 유독성 화학물질이 많이  들어 있습니다. 이들 유해폐기물은 대부분 아무언 처리도 거치지 않고 물속에 버려집니다. 또한 발전소·공장·자동차에서 나오는 대기오염 물질은 산성비의 주원인이 되고, 산성비는 강이나 호수로 흘러듭니다. 또 사업장에서는 엄청난 양의 물을 써서 장비를 식히는데, 뜨거운 물이 강이나 호수로 흘러들게 되면 열 오염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하수, 사람들이 버린 쓰레기, 목욕이나 세탁에 이용된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많은 양의 하수는 처리 과정을 거쳐 고체 쓰레기, 질소, 인산 등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게 됩니다. 그중 일부는 정화조를 거쳐 여과장치로 거른 다음 땅에 뿌려지게 되고, 나머지는 하수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강이나 바다로 흘러들게 됩니다. 농약과 노폐물, 비나 눈이 녹은 물은 농지에서 시내로 흘러들며, 이때 밭에 뿌린 화학비료나 살충제도 같이 흘러들어 갑니다. 동물의 노폐물도 수질오염의 주요 원인입니다. 특히 많은 동물을 기르는 경우, 노폐물이 한꺼번에 근처에 있는 시내로 흘러들게 됩니다. 관개에 이용된 물은 흙에 섞여 있는 소금이나 비료·농업용 살충제·유독성 화학물질로 오염된 채 지하로 스며들 수도 있습니다.

 

영향

인간이나 동물의 쓰레기로 물이 오염되면 장티푸스·콜레라·이질 등의 질병이 퍼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어떤 지역에서는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을 먼저 염소로 살균 처리한 뒤에 물을 공급합니다. 그러나 살균으로는 폴리염화 비페닐(PCB)·클로로폼·비소·납·수은과 같은 화학물질이나 중금속류는 제거할 수 없습니다. 쓰레기 하치장에서 주로 나오는 이런 유해폐기물은 심각한 지하수 오염 문제를 일으킵니다. 실제로 해로운 폴리염화 비페닐·클로로폼·살충제 등이 여러 나라의 식수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이런 물질은 아주 적은 양이라도 오랫동안 섭취하면 무척 해롭습니다. 또 배나 해안의 유정에서 새어 나온 기름이 해안으로 흘러들 때, 기름은 심각한 오염을 일으켜 물새와 조개류 등의 생물을 죽이게 됩니다. 또한 수질오염은 물속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자정작용에도 나쁜 영향을 끼칩니다. 이 작용에서는 물속에 녹아 있는 산소가 쓰레기를 해가 없는 물질로 분해하는 것을 돕습니다. 이 단계에서 산소를 많이 소모하는 호기성 세균은 유기물 쓰레기를 분해하여 더욱 단순한 물질로 만듭니다. 이런 물질 가운데 인산염과 질산염 등은 식물의 영양분이 되기도 합니다. 호기성 세균은 유기물 쓰레기를 분해할 때 물속에 있는 산소를 소모합니다. 과학자들은, 이  세균이 유기물을 분해할 때 소모하는 산소의 양을 측정해서 물속에 있는 유기 물질의 양을 알아내는 방법을 발견했습니다. 이것이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BOD)입니다. 만일 물속에 너무 많은 유기물 쓰레기가 들어 있으면, 세균은 물속에 녹아 있는 산소를 대부분 써버릴 것입니다. 물속에 영양분이 너무 많아지면 부영양화라는 과정이 일어납니다. 농지에서 빠져나온 비료나 하수에서 생긴 영양분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조류나 식물이 갑자기 많이 자라게 됩니다. 이들은 엄청난 양의 산소를 소모하며, 산소가 부족하면 죽어서 부패합니다. 극단적인 경우, 호수나 강에 지나치게 양분이 많아지면 물속에 있는 산소가 하루도 지나지 않아 전부 없어져 버립니다. 열오 염도 물속에 녹아드는 산소의 양을 줄어들게 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높은 온도의 물은 특정한 종류의 식물이나 물고기를 살지 못하게 만듭니다. 

반응형

댓글